분류 전체보기 (45) 썸네일형 리스트형 [WinForm] 크로스 스레드(Cross Thread) 문제 해결 WinForm에서 Thread를 사용해 폼의 컨트롤을 갱신하려고 시도하면 크로스 스레드 예외가 발생한다. 이는 컨트롤을 생성해 관리하는 스레드는 메인 스레드인데, 사용자가 생성한 외부 스레드에서 메인 스레드의 자원을 수정하려고 시도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예외이다. 가장 쉬운 해결 방법은 스레드 대신 Timer를 사용하는 것이다. 타이머는 메인 스레드 내에서 돌아가는 비동기 실행기이기 때문에 크로스 스레드 예외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방법은 비동기 처리 방법을 타이머 하나로 제한하므로 완벽한 해결 방법이라고 볼 수 없다. 단지 스레드보다 관리하기도 쉽고 크로스 스레드 예외를 발생시키지 않는 한 가지 해결 방법일 뿐이다. 크로스 스레드의 정석적인 해결 방법은 Invoke() 메서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 [WinForm] RichTextBox의 글꼴이 자동으로 변경될 때 RichTextBox에서 한글과 영어를 번갈아 입력하다 보면 처음 설정한 글꼴과 다른 글꼴로 멋대로 변경되는 것을 볼 수 있다. RichTextBox의 LanguageOption 속성에 의해 글꼴의 배율이 조정되면서 글꼴이 변경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RichTextBox.LanguageOption의 기본값은 RichTextBoxLanguageOptions.AutoFontSizeAdjust이며, 이 옵션으로 인해 한글 글꼴이 영어 글꼴보다 약간 크므로 글꼴의 크기를 일관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영어 글꼴을 Arial로 변경하는 것 같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폼의 생성자 등에서 RichTextBox를 사용하기 전에 LanguagaOption을 변경하고 사용하자. public partial class Form1 .. [WinForm] 컨트롤이 깜빡거리는 현상 해결 (DoubleBuffered 속성) 컨트롤이 많은 처리를 하거나, 컨트롤에 표시되는 데이터가 짧은 시간 안에 여러 번 갱신되어야 할 때 컨트롤이 깜빡거리는 현상을 볼 수 있다. (특히 ListView나 PictureBox 등)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Control 클래스에는 위해 컨트롤의 이중 버퍼링을 활성화하여 깜빡임을 최소화하는 DoubleBuffered 속성이 존재하는데, 이 속성은 protected로 선언되어 있기 때문에 Control 클래스를 상속받아 생성되는 컨트롤에서 DoubleBuffered 속성에 접근하기 위한 별도의 방법을 public으로 제공하지 않는다면 속성 창을 통해서, 또는 참조 변수를 통해 접근할 수 없다. 그러나 Reflection 기능을 사용해서 이 속성을 켜줄 수 있다. 아래 코드를 폼의 생성자 등 적절한 .. [WinForm] Form이 열려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모달리스 대화상자를 사용하다 보면 부모 윈도우에서 자식 윈도우가 열려있는지 확인해야 할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public partial Form1 : Form { public bool IsOpen { get { var openForms = Application.OpenForms; foreach(Form f in openForms) if(f == this) return true; return false; } } } 위와 같이 자식 윈도우에 IsOpen 속성을 생성하면 폼 외부에서 참조를 사용해 창이 열린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C#] 확장 메서드를 사용해 메서드 호출을 간결하게 하기 C#에는 확장 메서드 기능이 있다. 어떤 타입에 대해 클래스 외부에서 해당 클래스의 멤버 메서드를 추가로 구현하는 것이라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 (엄밀히 따지면 멤버 메서드는 아니다. private 멤버에는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 Column이 번호, 이름, 학번으로 구성된 ListView 컨트롤에 아이템을 추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var item = new ListViewItem(listView1.Items.Count.ToString()); item.SubItems.Add("홍길동"); item.SubItems.Add("12345678"); listView1.Items.Add(item); 그러나 매번 위 과정을 적기에는 생산성이 떨어지므로 아래와 같이 아이템을 추가하는 과정을 하나의 메서드로.. 이전 1 2 3 4 5 다음